부모 각각 자녀에게 증여할 수 있을까? 증여세 합산 기준 완벽 정리
안녕하세요, 소득이 되는 세금이야기입니다!
부모가 자녀에게 증여를 할 때, 엄마 따로 아빠 따로 증여하면 세금도 따로 계산될까요?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국세청 기준과 함께, 실무에서 자주 헷갈리는 ‘증여 합산 기준’을 여러 사례와 함께 친절히 설명해드립니다.
1. 부모 각각 증여, 합산되나요?
결론: 합산됩니다.
국세청은 부모(직계존속)와 그 배우자를 ‘동일인’으로 간주합니다. 즉,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에게 각각 증여하더라도, 자녀 입장에서는 10년간 누적 5,000만 원까지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📌 예시 1
- 아버지가 자녀에게 3,000만 원 증여
- 어머니가 자녀에게 3,000만 원 증여
- 총 증여액: 6,000만 원
- 공제 한도: 5,000만 원
- 과세 대상: 1,000만 원에 대해 증여세 부과
이처럼 부모 각각이 증여하더라도 부모 그룹 전체로 합산됩니다.
2. 그럼 자녀가 둘이면 각각 공제될까?
네, 수증자(자녀) 기준으로는 각각 계산됩니다.
📌 예시 2
- 아버지가 자녀 A에게 5,000만 원, 자녀 B에게 5,000만 원 증여
- 자녀 A, B 각각 10년 공제 한도(5,000만 원) 내이므로 증여세 없음
즉, 부모 → 여러 자녀는 자녀별로 각각 공제가 적용됩니다.
3. 배우자 간 증여는 어떻게?
부부 간 증여도 마찬가지로 각각 세금이 부과됩니다. 그러나 자녀에게 증여할 때는 부모 전체(부부)를 하나로 간주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.
4. 증여세 계산 기준
- 공제한도: 직계존속 → 자녀: 10년간 5,000만 원 (미성년자: 2,000만 원)
- 과세표준: 증여재산가액 – 공제한도
- 세율: 누진세율 (10%~50%)
📌 예시 3: 증여세 계산
- 부모가 자녀에게 총 1억 원 증여 (10년 내)
- 공제: 5,000만 원
- 과세표준: 5,000만 원
- 세율: 20%
- 산출세액: 1,000만 원
5. 실무 팁
- 증여 계획은 10년 단위 누적 기준을 고려
- 자녀가 여러 명이면 각각 분산 증여가 절세 전략이 될 수 있음
- 증여 시점부터 3개월 이내 증여세 신고 필수 (홈택스 또는 세무서)
6. 그러면, 이혼한 부모는 각각 공제 가능할까?
네, 가능합니다!
국세청은 배우자 관계가 종료된 경우에는 더 이상 동일인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, 이혼한 부모는 각각 별도의 증여자로 간주됩니다. 따라서 자녀 입장에서 부모 각각으로부터 10년간 5,000만 원씩 총 1억 원까지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.
📌 예시 4
- 이혼한 아버지가 자녀에게 5,000만 원 증여
- 이혼한 어머니도 자녀에게 5,000만 원 증여
- 총 증여액: 1억 원
- 두 사람은 더 이상 동일인 아님 → 각자 공제 가능
- 결과: 증여세 없음
단, 이혼 전 증여는 동일인으로 간주되므로, 증여 시점 기준으로 이혼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. 또한, 사실혼이나 협의 중 상태에서는 상황이 다를 수 있으니 세무 전문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.
마무리
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, 부모 각각 따로 공제되지 않고, 합산 적용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 실수로 세금이 더 나오는 일이 없도록, 증여 계획은 꼭 전문가 상담과 함께 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소득이 되는 세금이야기는 앞으로도 믿을 수 있는 국세청 기준에 따라, 실생활에 유익한 세금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드리겠습니다. 감사합니다!
2025.06.26 - [분류 전체보기] - 상속받은 아파트 지분,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할 수 있을까요?
상속받은 아파트 지분,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할 수 있을까요?
안녕하세요, 소득이 되는 세금이야기입니다!상속을 통해 아파트를 공동으로 물려받은 경우, 본인의 지분을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하고 싶은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. 오늘은 이런 경우에 실제로
tax-law-and-policy.tistory.com
2025.06.03 - [분류 전체보기] - 증여 후 사망 시, 증여세는 어떻게 처리될까요?
증여 후 사망 시, 증여세는 어떻게 처리될까요?
안녕하세요, 소득이 되는 세금이야기입니다!부모님이나 조부모님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후, 일정 기간 내에 증여자가 사망하게 되는 경우, 이미 낸 증여세 외에 또 상속세를 내야 할 수도 있
tax-law-and-policy.tistory.com
2025.05.24 - [분류 전체보기] - 가족 간 계좌이체,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?
가족 간 계좌이체,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?
안녕하세요, 소득이 되는 세금이야기입니다.부모님께 생활비를 보내드리거나, 형제들이 병원비를 나누어 부담하는 일은 가족 간에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일입니다. 하지만 이러한 금전 거래가
tax-law-and-policy.tistory.com